본문 바로가기

진드기 예방접종이요? 저도 순간 당황했어요

웰쓰아로마 2025. 4. 19.
진드기 예방접종 가능한가요?

 

오늘 병원에서 근무 중,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MMR 하고 진드기 예방접종을 하러 가고 싶은데요?"

 

순간 머릿속이 멍해졌어요.

23년 차 간호사인 저도 진드기 예방접종이라는 단어는 처음이었거든요.

 

신생아중환자실, 신생아실, 주사실, 지금은 내과까지 두루 경험했는데요.

수많은 백신과 예방접종을 안내해 왔지만, '진드기 예방접종'이라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었어요.

 

그분은 너무 당연하다는 듯 물으셨죠.

"혹시 내가 모르는 사이 백신이 생겼나?" 싶어 순간 당황했죠.

 

그래도 확실하지 않으니,

"확인 후 다시 연락드리겠습니다" 하고 바로 질병관리청을 찾아봤습니다.

 

1. 진드기 예방접종은 없습니다

피마자 진드기 곤충 이미지

 

현재 사람을 대상으로 한 진드기 예방접종은 국내외 모두 존재하지 않습니다.

 

간혹 일부 검색 결과나 AI가 혼동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어요.

사실이 아니거나, 반려동물용 약품과 혼동한 경우에요.

 

실제로 반려동물에게는 '진드기 기피제'나 '피부에 바르는 약'이 있어요.

 

하지만 이건 엄연히 사람용이 아닙니다.

기전도 다르고, 성분 자체가 인체 사용을 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어요.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건 '기피제' 형태의 외용제뿐입니다.

 

2. 진드기 예방은 이렇게 하세요

240419_진드기-매개-감염병-예방수칙240419_진드기-매개-감염병-예방수칙
240419_진드기-매개-감염병-질병관리청-예방수칙

 

진드기는 주로 가을철, 특히 9월에서 11월 사이에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들판, 산, 농지, 정원 등 풀숲이나 야외 활동이 많은 곳에서 조심해야 해요.

 

질병관리청에서 권장하는 진드기 예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야외활동 시 긴소매, 긴 바지 착용
  • 풀밭, 덤불에 앉거나 눕지 않기
  • 활동 후 바로 샤워, 착용한 옷은 즉시 세탁
  • 피부 확인, 혹시 진드기가 붙어 있었다면 병원 방문
  • 특히 가을철(9~11월),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주의

특히 문제가 되는 건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인데요.

 

진드기가 매개체로 작용하는 치명적인 질병이에요.

고열, 오한, 구토, 설사, 의식 저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3. AI 정보, 믿어도 될까요?

AI 시대.

요즘 많은 분들이 ChatGPT 같은 AI를 통해 정보를 검색하죠.

 

수학 문제도 술술 풀고, 질문에도 척척 대답하죠.

저도 개인적으로 든든한 도우미처럼 느끼고 있어요.

 

하지만,

  • 질문이 모호하거나
  • 국가별 상황이 다를 때(예를 들면 건강보험체계는 나라마다 법이 다르죠)
  • 공식 정보가 아닐 경우

틀린 정보가 나올 수 있어요. 제 경험상 실제로 그런 적도 있고요.^^

 

간호사로서 정말 걱정되는 부분은 "인터넷에서 봤어요, 검색해서 봤어요"라는 말.

이런 정보를 보고 실제로 없는 백신을 맞으러 오는 분들이 생긴다는 거예요.

 

다른 경우이긴 하지만, 최근 경험한 실제사례인데요.

얼마 전에는 본인이 먹고 있는 약, 맞고 있는 인슐린을 GPT한테 물어봐서 이렇게 바꿔달라고 가져오셨더라고요.

 

물론 참고는 할 수 있지만, 환자분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그분은 결국 그 처방을 받을 수 없는 분이었어요. 

의사 선생님의 진료 후에 설명을 듣고 이해하셨지만, 위험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의료 정보는 반드시 검증을 거치시길 추천드려요.

정보를 찾을 때는 반드시 질병관리청, 서울아산병원 질병정보, 의사, 간호사 같은 전문가의 의견도 함께 확인해 주세요.

 

GPT가 도와줄 수는 있지만, 정답은 아닐 수 있습니다.

 

4. 그래서 저는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어요

이제는 GPT로 다들 검색한다고 하던데, 정말 실감할 수 있는 요즘이에요.

최근 경험한 일과 오늘 전화 덕분에 요즘 사람들이 정보를 얻는 과정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어요.

  • GPT나 인터넷 정보는 참고용으로 활용하세요
  • 건강과 관련된 정보는 꼭 질병관리청, 보건복지부 등 공식 기관 확인!
  • 특히 백신, 예방접종 관련 정보는 반드시 전문가 상담 후 결정하세요

정확한 정보는 누군가의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헷갈리는 정보들, 제가 종종 알려드릴게요😊

 

"진드기 기피제는 백신이 아닙니다"

사람용, 반려동물용 기피제의 차이점과 안전한 사용법은 다음 포스팅에서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댓글